본문 바로가기

🎨 Design

(28)
✏ 인쇄 시 접지와 제본에 따른 주의점 ✔ 접지 - 접지시 접히는 부분이 사이즈가 같을 경우 바깥쪽 종이가 상하는 일이 생기므로 2~3mm정도로 줄여 작업 - 접히는 부분과 열리는 부분에 디자인시 중요한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 - 지도접지의 경우 여러번 접어 콤팩트하게 만드는 방법이기 때문에 너무 두꺼운 종이는 사용하지 말 것 - 접는 방식에 따라 순서가 달라지기 때문에 미리 접어보며 페이지의 순서를 확인하며 작업할 것 ✔ 제본 - 중철제본 : 4개의 면이 연결이 돼야하므로 4의 배수 페이지로 작업함. 페이지가 적을시 사용하는 방식(28p 이하) - 무선제본 : 적은 양의 페이지를 무선제본하면 본드칠되는 부분이 적어 책이 후두둑 떨어지는 경우가 생김. 📌 무선제본은 중철제본과 다르게 책등이 있는데, 현장에서는 '세네카' 라고 칭함..
✏ 제본 ✔ 제본 - 책을 엮어서 한 권으로 만드는 것 📌 제본의 종류 - 중철제본 : 제일 기본적인 제본 - 무선제본 : 페이지가 많을 때 사용 - 양장제본 : 오랫동안 보관하는 앨범이나 일 년 내내 사용해도 뜯어지지 않아야하는 다이어리처럼 튼튼하게 제작 - PUR제본 : 특수제본. 무선제본처럼 보이지만 특수 본드를 사용해 양장제본처럼 쫙쫙 펴지고 책을 360도로 펼쳐도 잘 뜯어지지 않음. ex) 서울시청 도로 홍보책자
✏ 접지 ✔ 접지 - 종이를 접는 것. - 정보를 담은 낱장으로 디자인 된 것 = 리플렛 - 휴대성 · 편리성을 위해 접어서 사용함 - 간단하게 한 번 접어서 만드는 반접지, 2단 접지부터 3 · 4 · 5단 등등 접는 면수에 따라 이름을 부르고 3단도 일반 3단 접지, N접지로 나뉘어 지고 4단도 병풍 접지, 대문 접지 등으로 접는 방법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름 - 들어가는 내용의 양이나 배포되는 장소, 용도 등을 생각해서 접지 방법을 결정함
✏ 인디자인 사전 세팅 ✔ 문자 - 굽은 따옴표 사용 체크 (예쁘지 않은 따옴표가 사용되는 경우를 방지) - 텍스트 드래그하여 놓기의 두가지 체크 해제하기 (레이아웃 보기에서 사용, 스토리 편집기에서 사용) ✔ 고급문자 - 위첨자, 아래첨자, 작은대문자세팅 (제공같은 수식을 포현할 때 크기와 위치를 세팅) - 라틴 문자가 아닌 텍스트에 인라인 입력 사용 체크 (자음 · 모음 따로 쓸 시 창이 따로 떠서 귀찮아짐) ✔ 단위 및 증감 - 단위를 밀리미터로 적용 - 조판, 텍스트 크기, 획을 포인트로 적용 ✔ 화면 표시 성능 - 다음 크기 이하일 때 흐리게 처리를 0pt로 변경 ( 자세한 텍스트 확인하기 위함) ✔ 검정 모양 - C, M, Y는 0이고 K만 100일 경우, 어두운 회색으로 표현 C, M, Y, K가 전부 100일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