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set : 영상의 해상도 담당
✔ Frame Rate : 1초당 움직임의 개수를 결정함 (1초에 몇개의 이미지를 넣느냐)
* 1초에 30장의 이미지가 들어갈때 우리가 일상에서 보는 움직임과 가장 흠사하기때문에 영상의 작업에서는 주로 30프레임 혹은 29.97로 작업 진행
30 or 29.97만으로 작업하지않는 이유는 기본은 30장이지만 슬로우모션이나 움직임의 부드러움이 극대화되어야하는 장면들에서는 60~120프레임까지 이미지 수를 늘려서 제작할 필요가 있음
이모티콘이나 혼자서 frame by frame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경우 용량의 문제나 딱딱 끊기는 움직임이 연출적으로 필요한 부분들을 고려할 때 선택적으로 30장 이하의 이미지로 제작하게 됨
✔ 타임라인에서 레이어처럼 쌓고 순서변경 가능(sound는 이미지가 아니라 어디에 놔도 무관함)
✔ ● solo : 해당 레이어에 솔로 아이콘이 표시가 되면 그 레이어만 composition 창을 표출함
✔ RAM Preview(램 프리뷰) : 프로그램 안에서 영상을 플레이하는 것
✔ 정확한 타임라인 위치에다 Work Area를 설정하고 싶을 때에는 Time code에서 내가 원하는 Time Line을 설정한다.
ex) 500을 입력하면 타임바가 정확하게 5초로 이동함
ex) 영상의 길이가 8초라면 Time code에서 800 입력후 'N'을 누르면 영역바의 뒤마크가 타임바의 위치로 이동함
'B'를 누르면 영역바의 앞마크가 타임바의 위치로 이동함
✔ 단축키 '0(숫자)'를 누르면 Preview 실행
✔ 렌더링 거는 법(모든 작업이 끝난 후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1. 상단메뉴 Composition - Add to Render Queue(단축키 ctrl + m)
2. Queue in AME 아이콘 클릭 → Adobe Media Encoder 실행됨
3. 형식 - H.264 / 사전 설정 - 소스 일치 - 높은 비트 전송률 / 출력 파일 - 저장위치 선택 / 녹색 플레이버튼 클릭
* 인코딩 시간 약간 소요
'🎨 Design > AfterEffec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펙트 정리 (0) | 2024.05.06 |
---|---|
✏ 애니메이션의 원리 (0) | 2024.04.16 |
✏ Transform 속성 및 단축키 정리 (0) | 2024.04.05 |
✏ 그래프 에디터에 핸들이 나오지 않을 때 (0) | 2024.04.01 |
✏ 애프터이펙트 (1) | 2024.02.08 |